산업안전 보건교육

법정의무교육(산언안전보건) 사업장 위험성 평가 실천

ted.kk 2024. 9. 11. 14:44
728x90

 

사업장 위험성 평가 실천

Q. 위험성평가 실시할 때 유해・위험요인 파악방법 중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반드시 채택해야 하는 방법은?

A.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사업장 순회점검에 의한 방법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경우, 반드시 채택해야만 합니다.

 

Q. 위험성평가를 실시할 때에 반드시 참여해야 하는 주체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은?

A. 외부 전문가는 사업장 스스로 실시하기 어렵거나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만 참여합니다.

 

 

Q. 위험성평가 절차 중 감소대책을 수립할 때 가장 먼저 적용해야 하는 대책은?

A. 가장 먼저 본질적 근원적 대책, 공학적 대책, 관리적 대책, 개인 보호구 사용 순으로 진행하여야 하며, 근원적 대책은 설계나 계획 단계에서 활용되는 것으로 위험성을 제거하거나 저감하는 대책입니다.

 

 

Q. 위험성평가 실시 시 근로자의 역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A. 근로자는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감소대책의 수립에 참여하며, 감소대책이 잘 이행되었는지 여부도 확인하는 역할을 하여야 합니다.

 

Q. 위험성평가 기록물의 보존기간으로 맞는 것은?

A. 위험성평가 기록물은 3년 이상 보존하여야 합니다. 위험성평가의 결과는 작년에 했던 내용의 업데이트가 아닌 매년 실시한 내용을 보존해야 합니다.

 

Q. 다음은 어떤 용어에 대한 정의이다. 무엇인가?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부상이나 질병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위험요인이 무엇인지 사전에 찾아내어 그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살펴보고, 위험하다면 그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

A.  위험성평가의 정의이다.

 

Q. 위험성평가의 대상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A. 매우 경미한 부상 및 질병(의사 진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업무에 바로 복귀할 수 있는 정도의 부상)만을 초래할 것으로 명백히 예상되는 유해·위험요인은 위험성평가의 대상에서 제외 가능하다.

 

Q. 다음은 위험성평가의 방법 중 대표적인 방법이다. 틀린 것은?

A. 위험성평가 방법 중 대표적인 방법에는 위험 가능성과 중대성을 조합한 빈도·강도법. 체크리스트법, 위험성 수준 3단계(··) 판단법, 핵심요인 기술법 등이 있다.

 

Q. 다음은 위험성평가 실시 시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A.  상시평가는 월--일 단위로 일상화 된 안전 활동을 말함

 

Q. 다음은 위험성평가의 절차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A. 위험성평가의 절차는 1) 사전준비 2) 유해·위험요인 파악 3) 위험성 결정 4)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5) 위험성평가의 공유 6) 기록 및 보존이다.

 

Q. 다음은 위험성평가의 절차 중 사전준비 단계의 설명이다. 틀린 것은?

A. 위험성평가 결과 기록 및 보존은 절차 중 기록 및 보존절차에 대한 설명이다.

 

Q. 다음은 위험성평가 절차 중 위험성 결정 단계의 설명이다. 틀린 것은?

A. 안전보건정보에 대한 사전 조사는 위험성평가 사전준비 단계에 대한 설명이다.

 

Q. 다음은 위험성평가 절차 중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에서 감소대책 마련 시 유의사항이다. 틀린 것은?

A. 위험성 감소대책 마련 시 유의사항에서 법령에 규정된 대로 조치하여야 한다.

 

Q. 다음은 어떤 것에 대한 설명이다. 무엇인가?

이것은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부상이나 질병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위험 요인이 무엇인지 사전에 찾아내어 얼마나 위험한지 살펴보고,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말한다.

A. 위험성평가에 대한 정의이다.

 

Q. 다음은 위험성평가의 목적에 대한 설명이다. 아닌 것은?

A. 위험성평가는 위험 예방을 위해 해야하는 일 확인 가능하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