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질환>
Q. 다음은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설명입니다.
A. 특정신체부위 및 근육의 부적절하고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근육, 관절, 혈관, 신경 등에 미세한 손상이 발생하여 만성적인 건강장애이고 의학적 진단명은 아닙니다.
Q. 다음 중 근골격계질환의 원인 중 작업환경 요인입니다.
A. 근골격계질환의 원인 중 작업환경 요인에는 개별 작업환경 작용, 작업자세, 반복작업, 중량물 작업 등이 있습니다.
Q. 다음은 근골격계질환의 직업병적 원인입니다.
A. 근골격계질환의 직업병적 원인은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자세, 무리한 힘, 접촉, 진동, 온도 등을 말합니다.
Q. 다음은 요통에 대한 원인입니다.
A. 신체부위별 근골격계질환 발생 중 요통의 원인은 중량물 인양 및 운반자세에서 나타납니다.
허리를 비틀거나 구부리는 자세 및 부자연스러운 작업자세가 원인이 되어 발생합니다.
Q. 유해요인조사 방법입니다.
A. 근로자 면담, 증상 설문조사, 인간공학적 측면을 고려한 조사, 세 가지 항목 모두 포함하여
유해요인 조사를 실시합니다.
Q. 근골격계질환의 관리방안에 대한 설명입니다.
A. 근골격계질환의 관리방안은 공학적 개선, 관리적 개선, 행동적 개선을 통해 진행하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공학적 개선입니다.
Q. 다음은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설명입니다.
A.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작업으로 인한 누적성 및 반복적 외상, 반복적 동작 상해 또는 반복긴장증후군이란 용어로 분류되기도 하며, 작업요인에 중점을 둔 정의입니다.
Q. 다음은 근골격질환의 원인 중 작업요인이 아닌 것에 대한 설명입니다.
A. 과거병력, 성별, 나이 등은 작업자의 요인이며 작업요인은 아닙니다.
<뇌심혈관질환 관리>
Q. 다음은 뇌심혈관질환 특성의 설명입니다.
A. 뇌심혈관질환은 겨울철 발생위험이 더 높으며,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을 때 서서히 합병증을 일으켜 발생합니다. 전염병과 같이 세균 하나에 의해 발병하는 것은 아닙니다.
Q. 다음은 뇌심혈관질환의 원인 중 개인적 위험요인에 해당하는 것에 대한 설명입니다.
A.건강상태 요인입니다. 개인적인 위험요인은 건강상태 요인, 생활습관 요인, 유전적 요인으로 구분되며 화학적 요인 및 정신적 요인은 작업관련 위험요인을 말합니다.
Q. 다음은 뇌심혈관질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교정할 수 없는 요인에 대한 설명입니다.
A. 성별, 유전적 요인, 연령은 교정할 수 없는 요인입니다.
Q. 다음은 고혈압에 대한 설명입니다.
A. 혈압은 혈액이 혈관벽에 가하는 힘을 말하며,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완기 혈압 90mmHg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합니다.
Q. 다음은 뇌심혈관질환의 전조증상 설명입니다.
A. 뇌심혈관질환의 전조증상은 갑자기 팔, 손, 다리에 힘이 빠지고 약해진 느낌 또는 저림 증상을 나타냅니다. 갑자기 한쪽 눈이 보이지 않거나 말을 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도 있으며, 어지러움이나 심한 두통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Q. 다음은 뇌심혈관질환에 대한 설명입니다.
A. 뇌혈관질환과 심장혈관질환의 합성어로 인체에서 심장, 심혈관, 뇌혈관 계통에서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Q. 다음은 어떤 뇌심혈관질환에 대한 설명입니다.
A. 근로자에게서 작업관련 인자가 발병요인으로 일부 작용하여 발병한 것으로 추정되는 뇌심혈관질환이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작업으로 인한 누적성 및 반복적 외상, 반복적 동작 상해 또는 반복긴장증후군이란 용어로 분류되기도 하며, 작업요인에 중점을 둔 정의입니다.
Q. 다음은 뇌심혈관질환의 특성에 대한 설명입니다.
A. 뇌심혈관질환은 본인이 가지고 있는 병에 합병증으로 많이 발생하며, 이들 병은 유전적이거나 나쁜 생활습관 등으로 발생합니다.
'산업안전 보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정의무교육(산언안전보건)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의 이해 (3) | 2024.09.13 |
---|---|
법정의무교육(산언안전보건) 근로자건강장해 예방관리 (0) | 2024.09.13 |
법정의무교육(산언안전보건) 건강검진과 건강관리 (0) | 2024.09.13 |
법정의무교육(산언안전보건) 감정노동관리와 직무스트레스관리 강의노트 (1) | 2024.09.13 |
법정의무교육(산언안전보건) 3대사고와 8대위험요인 (1) | 2024.09.13 |